논리적 사고의 기본적 틀에 대한 책으로 논리적으로 잘 짜여 있고 독자에게 잘 읽히는 글은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도입부의 저술 : 독자가 관심 있고 해결하고 싶은 주제로 도입부를 구성하며, 독자가 글을 읽을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도입부의 구성은 상황, 전개, 질문-답변 프레임워크로 이뤄진다.
글을 읽을 사람이 처해 있는 공통된 지식인 상황 (Situation)
상황이 발전되어서 만드는 전개 (Complication) : 여기서 원하는 결과 (R2)와 현재 상황 (R1)이 정의된다
독자가 궁금해할만한 질문 (Question)
질문에 대한 대답 (Answer)
Answer는 본문의 내용이 되고, Question은 도입부에서 독자가 원하는 질문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피라미드 구조
독자가 궁금해하는 내용에 대한 답을 피라미드 구조로 제시한다. 피라미드 구조는 하위의 상세 내용이 상위의 개념을 모두 포괄하고, 하위 그룹들이 논지 전개에 필수적인 조건들로 이뤄져 있어야 한다.
피라미드 구조에서의 규칙은 :
규칙 1 : 어떤 계층에 있는 메시지든 하위 계층의 메시지를 요약해야 한다
규칙 2 : 그룹 내의 메시지는 항상 동일한 종류여야 한다
규칙 3 : 그룹 내의 메시지는 항상 논리적 순서로 배열되어야 한다
그룹핑
피라미드 구조에 들어가는 세부적인 근거는 논리 구조로 묶여 있어야 한다. 이는 프로세스, 구조, 공통성에 따라 그룹으로 만들어 연역, 혹은 귀납적 논리에 따라 묶여 있어야 한다.
MECE
이를 그루핑하는 핵심 아이디어로 "MECE"가 있다. MECE란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란 말로, 모든 요소가 빠짐없이 들어 있으면서(Collectively Exhaustive) 서로 중복됨이 없이 묶여있다는 뜻이다. (Mutually Exclusive)
논리 : 규칙, 결과, 사례
논리는 규칙, 결과, 사례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피라미드의 하위 구조는 이런 형태의 논리로 구성이 되어 있어야 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ronation&logNo=220995342263
내가 일을 정말 대충 하고 있었구나. 깊게 사고하고 있지 못하고 닥치는 일만 하나씩 처리하고 있었다는 생각을 했다
내부자라서 갖게 되는 근시안이 있다고도 약간은 생각이 든다 (변명)
책을 보면서 다른 방법론적인 도구들도 여기의 구조로 생각을 요약해 보면서 도출되었지 않았을까 싶었다. 마치 성을 쌓기 위한 기초 벽돌을 본 것과 같은 느낌, 숲만 보다 숲을 이루는 나무를 처음 확인한 기분이었다.
튼튼한 생각을 하기 위해서 기초가 되는 프레임워크, 강건한 구조를 잘 갖춰야 하겠다
피라미드 구조 : 특정 주제에 대한 생각이 수직-수평적 구조로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
문장이 위에서 아래로 전개되는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피라미드 형태의 논리 전개는 독자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사고 메커니즘의 기본 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관련성의 논리 : 각 항목이 어떤 관계에 따라 그루핑이 되었는지 머릿속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해야 한다.
위에서 아래로 배열하기 : 자기 생각을 의도한 바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독자에게 의도를 알려주어 이해하는 구조를 통일시켜야 한다.
아래에서 위로 생각하기 : 실제로 글을 쓰는 작업에서는 이처럼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형태로 생각을 정리한다고 할 수 있다. 피라미드의 맨 아래 단계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문장이 그루핑되어 단락을 형성한다. ... 문장을 그루핑을 한 이유는 문장들 사이에 논리적으로 공통된 하나의 관계가 있기 대문이다. 단락은 공통된 논리에 따라 하나의 장으로, 여러 장은 하나로 묶여서 문서를 완성한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정확하게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면 글이 적절하게 짜여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글을 쓰기 전에 다음의 세 가지 규칙을 점검해야 한다.
규칙 1 : 어떤 계층에 있는 메시지든 하위 계층의 메시지를 요약해야 한다
규칙 2 : 그룹 내의 메시지는 항상 동일한 종류여야 한다
규칙 3 : 그룹 내의 메시지는 항상 논리적 순서로 배열되어야 한다
연역적 추론, 인과관계, 전체를 부분으로 나누기, 유형별로 나누기 등의 네 가지 작업이 뇌가 수행할 수 있는 분석 활동의 전부이므로,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는 글의 순서를 정할 수 없다.
피라미드 원칙은 자신이 가진 생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음과 같은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